플라톤(채식인)의 『파이돈』 발췌 내용을 계속 볼 텐데요, 여기서 소크라테스(채식인)는 케베스(채식인)와 심미아스(채식인)에게 우리 영혼은 신성하며 생명과 일치하므로 죽음을 인정할 수 없다고 설명합니다.
“「방금 말한 바 있고 자네도 알다시피, 확실히 숫자 3의 개념을 가진 것이 무엇이든 반드시 3이며 또한 홀수여야 하는가?」 「물론이네」 「그렇다면 이것을 구성하는 형상에 반대되는 개념은 결코 들어올 수 없다고 주장하네」 「그러네」 「홀수의 원리로 그러하겠지?」 「맞네」 「이에 반대되는 것은 짝수의 개념인가?」 「맞네」 「그러면 짝수의 개념은 3에 절대 도달할 수 없는가?」 「그래, 물론이네」 「그렇다면, 3은 짝수와 관련 없지 않은가?」 「전혀 관련이 없네」 「숫자 3은 홀수인가?」 「맞네」 「그러면 내가 아까 무언가 대립하는 것은 아니면서 거기에 들어있는 대립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는 것이 있다고 한 말로 돌아가세; 앞에 든 예처럼, 3은 짝수와 반대가 아니지만 결코 짝수를 용인하지 않고 항상 짝수는 반대쪽에서 활동하네, 또 2는 홀수를 받아들이지 않고 불은 냉기를 받아들이지 않네. 이러한 예에서 대립하는 것만이 대립하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대립을 초래하는 것은 그것을 초래하는 것의 반대, 그것이 도달하는 바의 반대를 인정하지 않음을 아네」
「그럼 대답해 보게」 그가 말했다, 「몸속에 무엇이 있으면, 몸이 살아있는가?」 「영혼이네」 그가 답했다. 「그리고 항상 그런가?」 「항상 그러하네」 그가 말했다. 「그럼 영혼이 무엇을 갖고 있든지 항상 그것에 생명을 주는가?」 「그러네」 그가 답했다. 「그러면 생명에 반대되는 것이 있는가?」 「있네」 그가 답했다. 「뭔가?」 「죽음이네」 「이미 인정했듯이, 영혼은 자신이 초래하는 것의 반대를 받아들이지 않는 건가?」 「그렇네」 케베스가 답했다. 「그럼 뭔가? 짝수를 배척하는 원리를 무엇이라 불렀는가?」 「홀수네」 그가 답했다. 「정의나 음악을 인정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비음악과 부정의이네」 그가 말했다. 「그러면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원리를 뭐라고 부르는가?」 「불멸이네」 그가 답했다. 「그러면 영혼은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건가?」 「그러네」 「그럼 영혼은 불멸인가?」 「불멸이네」 […]”